접미사 배열과 LCP 배열(Suffix Array and LCP Array)
접미사(Suffix)
문자열 $s$의 $i$번째 접미사란, $s$의 $i$번째 글자부터 마지막 글자까지 포함하는 부분문자열을 뜻합니다. 예를 들어, $s=\mathsf{GATAGACA}$의 접미사를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} \hline \mathsf{i} & \mathsf{i'th \ suffix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0} \\ \mathsf{1} \\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4} \\ \mathsf{5} \\ \mathsf{6} \\ \mathsf{7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GATAGACA} \\ \mathsf{ATAGACA} \\ \mathsf{TAGACA} \\ \mathsf{AGACA} \\ \mathsf{GACA} \\ \mathsf{ACA} \\ \mathsf{CA} \\ \mathsf{A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접미사 배열(Suffix Array)
접미사들을 사전 순으로 나열한 배열이 접미사 배열입니다. 이 때, 부분 문자열 자체를 저장하는 대신 간단하게 접미사가 시작하는 인덱스를 저장합니다. 예시로 든 문자열 $s$의 접미사를 사전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7} \\ \mathsf{5} \\ \mathsf{3} \\ \mathsf{1} \\ \mathsf{6} \\ \mathsf{4} \\ \mathsf{0} \\ \mathsf{2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A} \\ \mathsf{ACA} \\ \mathsf{AGACA} \\ \mathsf{ATAGACA} \\ \mathsf{CA} \\ \mathsf{GACA} \\ \mathsf{GATAGACA} \\ \mathsf{TAGACA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문자열 $s$의 접미사 배열 $\mathsf{sa}$는 $\mathsf{[7, 5, 3, 1, 6, 4, 0, 2]}$가 됩니다.
Manber-Myers Algorithm
주어진 문자열의 접미사 배열을 구하는 Manber-Myers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봅시다. 알고리즘은 몇 번의 반복적인 단계로 이뤄지는데, $k$번째 단계에서는 접미사를 앞부터 $2^k$개의 문자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. 총 $\lceil \log n \rceil$번의 단계를 거치고 나면, 모든 접미사를 사전 순으로 얻게 됩니다.
각 단계마다 이전 단계에서 정렬된 순서를 이용하여 접미사 간의 대소 비교를 $O(1)$만에 할 수 있기 때문에 $O(n \log n)$ 또는 $O(n)$에 정렬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 따라서 총 시간복잡도 $O(n \log^2 n)$ 또는 $O(n \log n)$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.
접미사간 대소 비교
앞부터 $d$개의 문자를 기준으로 대소 비교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. 어떤 $i$번째 접미사의 앞부터 $d$개의 문자는 두 부분의 연속한 $d/2$개의 문자로 나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\[\overbrace{\underbrace{\mathsf{G \ A}}_{d/2} \ \underbrace{\mathsf{T \ A}}_{d/2}}^d \ \mathsf{G \ A \ C \ A}\]현재 앞부터 $d$개의 문자를 기준으로 대소 비교를 한다는 것은 이전 단계에서 $d/2$개의 문자를 기준으로 정렬했다는 말이 됩니다. 따라서 앞 쪽의 연속한 $d/2$개의 문자의 순서는 이미 계산되어 있습니다. 게다가 뒷 쪽의 연속한 $d/2$개의 문자는 $i+d/2$번째 접미사의 순서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} \hline \mathsf{i} & \mathsf{i'th \ suffix} \\ \hline \begin{array}{c} i \\ i+d/2 \end{array} & \begin{array}{r} \mathsf{ G \ A \ \color{red}{T \ A} \ G \ A \ C \ A} \\ \mathsf{\color{red}{T \ A} \ G \ A \ C \ A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따라서 $i$번째 접미사의 앞부터 $d$개의 문자는 ($i$번째 접미사 순서, $i+d/2$번째 접미사 순서) 쌍으로 나타내도록 합시다. 다른 $j$번째 접미사와 비교하려면 ($j$번째 접미사 순서, $j+d/2$번째 접미사 순서) 쌍과 비교하여 두 접미사간 대소를 $O(1)$에 판단할 수 있습니다.
예시
문자열 $s=\mathsf{ABAAB}$의 접미사 배열을 구해봅시다.
첫 번째 단계에서는 첫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. 각 접미사의 순서를 $\mathsf{rank}$에 저장했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rank[sa[i]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0} \\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1} \\ \mathsf{4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}BAAB} \\ \mathsf{\color{red}{A}AB} \\ \mathsf{\color{red}{A}B} \\ \mathsf{\color{red}{B}AAB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1} \\ \mathsf{1} \\ \mathsf{1} \\ \mathsf{2} \\ \mathsf{2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부터 두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해야 합니다. ($i$번째 접미사 순서, $i+d/2$번째 접미사 순서) 쌍을 적습니다. 이 때, 빈 문자열인 경우 0번째로 취급합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pair}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0} \\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1} \\ \mathsf{4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B}AAB} \\ \mathsf{\color{red}{AA}B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BA}AB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(1,2)} \\ \mathsf{(1,1)} \\ \mathsf{(1,2)} \\ \mathsf{(2,1)} \\ \mathsf{(2,0)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접미사를 순서쌍 기준으로 정렬하여 새롭게 순서를 메기면 이 단계가 끝나게 됩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rank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2} \\ \mathsf{0} \\ \mathsf{3} \\ \mathsf{4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A}B} \\ \mathsf{\color{red}{AB}AAB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\ \mathsf{\color{red}{BA}AB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cc} \mathsf{(1,1)} & \Rightarrow & \mathsf{1} \\ \mathsf{(1,2)} & \Rightarrow & \mathsf{2} \\ \mathsf{(1,2)} & \Rightarrow & \mathsf{2} \\ \mathsf{(2,0)} & \Rightarrow & \mathsf{3} \\ \mathsf{(2,1)} & \Rightarrow & \mathsf{4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세 번째 단계에서는 앞부터 네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. 마찬가지로 순서쌍을 적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pair}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2} \\ \mathsf{0} \\ \mathsf{3} \\ \mathsf{4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AA}B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\ \mathsf{\color{red}{BAA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(1,3)} \\ \mathsf{(2,1)} \\ \mathsf{(2,0)} \\ \mathsf{(3,0)} \\ \mathsf{(4,2)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접미사를 순서쌍 기준으로 정렬하여 새롭게 순서를 메겨줍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rank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0} \\ \mathsf{4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AA}B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\ \mathsf{\color{red}{BAA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cc} \mathsf{(1,3)} & \Rightarrow & \mathsf{1} \\ \mathsf{(2,0)} & \Rightarrow & \mathsf{2} \\ \mathsf{(2,1)} & \Rightarrow & \mathsf{3} \\ \mathsf{(3,0)} & \Rightarrow & \mathsf{4} \\ \mathsf{(4,2)} & \Rightarrow & \mathsf{5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네 번째 단계에서는 앞부터 네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. 마찬가지로 순서쌍을 적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pair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2} \\ \mathsf{0} \\ \mathsf{3} \\ \mathsf{4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A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\ \mathsf{\color{RED}{BAA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(1,0)} \\ \mathsf{(2,4)} \\ \mathsf{(3,0)} \\ \mathsf{(4,0)} \\ \mathsf{(5,0)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접미사를 순서 쌍 기준으로 정렬하여 새롭게 순서를 메겨줍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rank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0} \\ \mathsf{4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}} \\ \mathsf{\color{red}{ABAAB}} \\ \mathsf{\color{red}{B}} \\ \mathsf{\color{red}{BAAB}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cc} \mathsf{(1,0)} & \Rightarrow & \mathsf{1} \\ \mathsf{(2,4)} & \Rightarrow & \mathsf{2} \\ \mathsf{(3,0)} & \Rightarrow & \mathsf{3} \\ \mathsf{(4,0)} & \Rightarrow & \mathsf{4} \\ \mathsf{(5,0)} & \Rightarrow & \mathsf{5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모든 글자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났을 때, 접미사 배열 $\mathsf{sa = [2,3,0,4,1]}$가 완성됩니다.
$O(n \log^2 n)$ 구현
총 $\lceil \log n \rceil$단계에 대해서, 각 단계마다 std::sort()
를 이용하여 $O(n \log n)$에 정렬하는 방법으로 구현했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vector<int> buildsa(string &s){
int n = s.size();
vector<int> sa(n), r(n+1), nr(n+1);
for(int i=0;i<n;++i) sa[i]=i, r[i]=s[i];
for(int d=1;d<n;d<<=1){
auto cmp = [&](int i,int j){
return r[i]<r[j] || (r[i]==r[j] && r[i+d]<r[j+d]); };
sort(sa.begin(), sa.end(), cmp);
nr[sa[0]] = 1;
for(int i=1;i<n;++i)
nr[sa[i]] = nr[sa[i-1]] + cmp(sa[i-1], sa[i]);
r = nr;
}
return sa;
}
첫 단계에서 한 글자로 기준으로 정렬하는 경우, 대문자 혹은 소문자로만 이뤄져 있다고 가정하고 아스키값으로 $\mathsf{rank}$를 지정했습니다. 이는 대소 비교를 위한 값이라 실제 값은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.
$O(n \log n)$ 구현
위의 구현에서 정렬하는 부분을 counting sort로 $O(n)$에 해결하는 방법입니다. pair를 counting sort하는 방법만 알면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정렬한 뒤, 첫 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stable sort함으로써 pair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.
stable counting sort
counting sort할 때 쓰이는 count
배열의 누적하면, count[x]
는 원소 x
가 있을 수 있는 마지막 위치를 나타내게 됩니다.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마지막 원소부터 위치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 idx[i]
는 stable sort했을 때 i
번째로 오는 원소의 인덱스를 저장하게 됩니다.
1
2
3
4
5
6
7
8
vector<int> countingsort(vector<int> &a){
int n = a.size(), m = 1000; // m : a원소가 될 수 있는 최대값
vector<int> cnt(m), idx(n);
for(int i=0;i<n;++i) cnt[a[i]]++;
for(int i=1;i<m;++i) cnt[i] += cnt[i-1];
for(int i=n-1;~i;--i) idx[--cnt[a[i]]] = i;
return idx;
}
이를 이용한 pair를 counting sort하는 구현은 다음과 같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vector<int> countingsort(vector<pii> &a){
int n = a.size(), m = 1000;
vector<int> cnt(m), idx(n);
for(int i=0;i<n;++i) cnt[a[i].second]++;
for(int i=1;i<m;++i) cnt[i] += cnt[i-1];
for(int i=n-1;~i;--i) idx[--cnt[a[i].second]] = i;
vector<int> ret(n);
for(int i=0;i<m;++i) cnt[i] = 0;
for(int i=0;i<n;++i) cnt[a[i].first]++;
for(int i=1;i<m;++i) cnt[i] += cnt[i-1];
for(int i=n-1;~i;--i) ret[--cnt[a[idx[i]].first]] = idx[i];
return ret;
}
최종적으로 (r[i], r[i+d])
에 대한 counting sort를 구현하면, 접미사 배열을 $O(n \log n)$에 구할 수 있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vector<int> buildsa(string &s){
int n = s.size(), m = max(256,n)+1;
vector<int> sa(n), r(n+n), nr(n+n), cnt(m), idx(n);
for(int i=0;i<n;++i) sa[i]=i, r[i]=s[i];
for(int d=1;d<n;d<<=1){
auto cmp = [&](int i,int j){
return r[i]<r[j] || (r[i]==r[j] && r[i+d]<r[j+d]); };
for(int i=0;i<m;++i) cnt[i] = 0;
for(int i=0;i<n;++i) cnt[r[i+d]]++;
for(int i=1;i<m;++i) cnt[i] += cnt[i-1];
for(int i=n-1;~i;--i) idx[--cnt[r[i+d]]] = i;
for(int i=0;i<m;++i) cnt[i] = 0;
for(int i=0;i<n;++i) cnt[r[i]]++;
for(int i=1;i<m;++i) cnt[i]+=cnt[i-1];
for(int i=n-1;~i;--i) sa[--cnt[r[idx[i]]]] = idx[i];
nr[sa[0]] = 1;
for(int i=1;i<n;++i) nr[sa[i]] = nr[sa[i-1]] + cmp(sa[i-1], sa[i]);
for(int i=0;i<n;++i) r[i] = nr[i];
if(r[sa[n-1]]==n) break; // reduce running time
}
return sa;
}
Longest Common Prefix 배열
LCP(Longest Common Prefix) 배열이란, 접미사 배열 상에서 이웃한 두 접미사 간의 최장 공통 접두사의 길이를 저장한 배열입니다. 여기에서는 각 접미사에 대해 사전 순으로 바로 앞에 있는 접미사와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.. 예를 들어, 문자열 $s=\mathsf{ASDSDASD}$에 대한 LCP 배열은 다음과 같습니다.
\[\begin{array}{|c|c|c|c|} \hline \mathsf{i} &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lcp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0} \\ \mathsf{1} \\ \mathsf{2} \\ \mathsf{3} \\ \mathsf{4} \\ \mathsf{5} \\ \mathsf{6} \\ \mathsf{7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5} \\ \mathsf{0} \\ \mathsf{7} \\ \mathsf{4} \\ \mathsf{2} \\ \mathsf{6} \\ \mathsf{3} \\ \mathsf{1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ASD} \\ \mathsf{ASDSDASD} \\ \mathsf{D} \\ \mathsf{DASD} \\ \mathsf{DSDASD} \\ \mathsf{SD} \\ \mathsf{SDASD} \\ \mathsf{SDSDASD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-} \\ \mathsf{3} \\ \mathsf{0} \\ \mathsf{1} \\ \mathsf{1} \\ \mathsf{0} \\ \mathsf{2} \\ \mathsf{2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접미사 배열을 순회하면서 나이브하게 구하는 경우 시간복잡도는 $O(n^2)$가 됩니다. 접미사의 길이가 긴 순서로 LCP 길이를 구하는 경우, 이미 구한 LCP 길이를 이용해서 $O(n)$만에 구할 수 있습니다.
$i$번째 접미사의 LCP 길이를 구했다고 가정합시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lcp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-} \\ i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ASD}} \\ \mathsf{\color{red}{ASD}SDASD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-} \\ \mathsf{3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$i$번째 접미사의 첫 글자를 지우면 $i+1$번째 접미사가 되고 LCP의 길이는 최소 $\mathsf{2(=3-1)}$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둘 사이에 있는 접미사에 따라 $\mathsf{2}$ 이상이 될 수도 있으므로 LCP 길이를 갱신해주도록 합시다.
\[\begin{array}{|c|c|c|} \hline \mathsf{sa[i]} & \mathsf{suffix \ array} & \mathsf{lcp[i]} \\ \hline \begin{array}{c} \mathsf{-} \\ \\ \mathsf{-} \\ i+1 \end{array} & \begin{array}{l} \mathsf{\color{red}{SD}} \\ \cdots \\ \mathsf{\color{red}{SD}ASD} \\ \mathsf{\color{red}{SD}SDASD} \end{array} & \begin{array}{c} \mathsf{-} \\ \\ \mathsf{-} \\ \mathsf{2} \end{array} \\ \hline \end{array}\]이런 방식으로 모든 접미사에 대해 길이 순으로 LCP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. 각 접미사마다 이전 접미사의 LCP 길이를 $k$라고 할 때 $k$는 최대 $n$번 증가하고 최대 $n$번 감소하기 때문에 $O(n)$만에 LCP 배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위의 내용을 구현하려면 사전 순으로 바로 앞에 있는 접미사의 인덱스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isa[i]
배열을 정의하겠습니다.
-
sa[i]
: 사전 순으로i
번째가 몇 번째 접미사인지 저장합니다. -
isa[i]
:sa[i]
의 반대 배열.i
번째 접미사가 사전 순으로 몇 번째 인지 저장합니다. 즉,isa[sa[i]] = i
를 만족합니다.
이렇게 하면 사전 순으로 바로 앞에 있는 접미사를 sa[isa[i]-1]
로 구할 수 있게 됩니다.
다음은 LCP 배열을 구하는 과정을 구현한 코드입니다.
1
2
3
4
5
6
7
8
9
10
vector<int> buildlcp(vector<int> &sa, const string &s){
int n = s.size();
vector<int> lcp(n), isa(n);
for(int i=0;i<n;++i) isa[sa[i]] = i;
for(int k=0, i=0;i<n;++i) if(isa[i]){
for(int j=sa[isa[i]-1]; s[i+k]==s[j+k]; ++k);
lcp[isa[i]] = (k ? k-- : 0);
}
return lcp;
}